문의bg

살충제 합성에 있어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적용 진행

안정적이고 풍작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화학 살충제는 해충 방제에 있어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합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화학 살충제입니다. 중국을 비롯하여 유럽 연합, 미국, 캐나다를 포함한 120여 개국에서 사용 등록이 되어 있으며,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은 25% 이상을 차지합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곤충 신경계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수용체(nAChR)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중추 신경계를 마비시키고 곤충의 죽음을 유발하며, 매미목, 딱정벌레목, 나비목, 심지어 저항성 표적 해충까지 탁월한 방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2021년 9월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스플루페나미드 등 12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니트릴, 피페라진, 클로로틸린, 시클로플로프리드, 플루오로피라논 등 3,400종 이상의 제제가 있으며, 이 중 복합 제제가 31% 이상을 차지합니다. 아민, 디노테푸란, 니텐피람 등이 있습니다.

농업 생태환경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표적 저항성, 생태적 위험, 그리고 인체 건강과 같은 일련의 과학적 문제들이 부각되었습니다. 2018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면화 진딧물 포장 개체군은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에 대해 중간 및 높은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이 중 이미다클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 티아메톡삼에 대한 저항성은 각각 85.2~412배, 221~777배, 그리고 122~1,095배 증가했습니다. 담배진딧물 개체군의 약제 저항성에 대한 국제 연구 결과에서도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담배진딧물이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 특히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티아클로프리드에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둘째,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는 벌의 개체 밀도, 섭식 행동, 공간 역학 및 체온 조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렁이의 발달과 번식에도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인간 소변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검출률이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간접 섭취 및 체내 축적이 해마다 증가했음을 시사합니다. 쥐 뇌 미세투석을 통해 클로티아니딘과 티아메톡삼 스트레스가 쥐의 도파민 분비를 유도하고, 티아클로프리드가 쥐 혈장 내 갑상선 호르몬 수치 증가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가 수유에 영향을 미쳐 동물의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손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인간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에 대한 시험관내 모델 연구에서 니텐피람이 DNA 손상과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ROS)를 증가시키고, 이는 골형성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캐나다 해충관리청(PMRA)은 일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에 대한 재평가 절차를 시작했으며, 유럽식품안전청(EFSA) 또한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클로티아니딘을 금지 및 제한했습니다.

다양한 살충제의 배합은 단일 살충제 대상의 내성을 지연시키고 살충 활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살충제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 노출 위험을 감소시켜 상기 과학적 문제들을 완화하고 살충제의 지속 가능한 사용을 위한 광범위한 전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및 유기인계 살충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 등 실제 농업 생산에 널리 사용되는 기타 살충제의 배합 연구를 기술하고,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합리적 사용 및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1 유기인계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유기인계 살충제는 우리나라 초기 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살충제입니다. 이 살충제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신경 전달에 영향을 미쳐 해충의 사멸을 초래합니다. 유기인계 살충제는 잔류 기간이 길어 생태 독성 및 인체와 동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두드러집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병용하면 이러한 과학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미다클로프리드와 대표적인 유기인계 살충제인 말라티온, 클로르피리포스, 폭심의 배합 비율이 1:40~1:5일 때 파파리 유충에 대한 방제 효과가 더 좋으며, 공독성 계수는 ​​122.6~338.6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표 1 참조). 그중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폭심의 유채 진딧물에 대한 포장 방제 효과는 90.7~95.3%로 높으며, 유효 기간은 7개월 이상입니다. 동시에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폭심(디피미드의 상품명) 복합 제제를 900 g/hm²로 처리한 결과, 전체 생육 기간 동안 유채 진딧물에 대한 방제 효과가 90% 이상이었습니다. 티아메톡삼, 아세페이트, 클로르피리포스 복합 제제는 양배추에 대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으며, 공독성 계수는 ​​131.1~459.0에 달했습니다. 또한, 티아메톡삼과 클로르피리포스의 비율이 1:16일 때, S. striatellus의 반치사 농도(LC50 값)는 8.0 mg/L, 공독성 계수는 ​​201.12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니텐피람과 클로르피리포스의 배합비가 1:30일 때 흰등멸구 방제에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냈으며, LC50 값은 1.3 mg/L에 불과했습니다. 시클로펜타피르, 클로르피리포스, 트리아조포스, 디클로르보스의 조합은 밀진딧물, 목화다래벌레, 벼룩좀 방제에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냈으며, 동시독성계수는 134.0-280.0이었습니다. 플루오로피라논과 폭심을 1:4 비율로 혼합했을 때 동시독성계수는 176.8로, 4년생 부추파리 방제에 뚜렷한 상승효과를 나타냈습니다.

요약하자면,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는 말라티온, 클로르피리포스, 폭심, 아세페이트, 트리아조포스, 디클로르보스 등과 같은 유기인계 살충제와 자주 혼합됩니다. 이러한 혼합은 방제 효율을 향상시키고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 폭심, 말라티온의 복합 제제를 더욱 개발하고 복합 제제의 방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카바메이트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곤충의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와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아세틸콜린과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를 축적시키고 곤충을 죽임으로써 농업, 임업, 축산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사용 기간이 짧고 해충 저항성 문제가 심각합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사용 기간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혼합하여 연장할 수 있습니다.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이소프로카브를 7:400의 비율로 흰등멸구 방제에 사용했을 때 공독성 계수가 638.1로 가장 높았습니다(표 1 참조).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이프로카브의 비율이 1:16일 때 벼멸구 방제 효과가 가장 뚜렷했으며 공독성 계수는 ​​178.1이었고 효과 지속 시간은 단일 투여량보다 길었습니다. 이 연구는 또한 티아메톡삼과 카보설판의 13% 미세캡슐화 현탁액이 포장에서 밀 진딧물에 대한 우수한 방제 효과와 안전성을 나타냄을 보여주었습니다. d는 97.7%에서 98.6%로 증가했습니다. 48% 아세타미프리드와 카보설판 분산성 오일 현탁액을 36~60 g ai/hm²의 농도로 처리한 후, 면화 진딧물에 대한 방제 효과는 87.1%~96.9%였으며, 유효 기간은 14일까지 지속되어 면화 진딧물 천적이 안전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요약하자면,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는 이소프로카브, 카보설판 등과 혼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담배나방(Bemisia tabaci)과 진딧물과 같은 표적 해충의 저항성을 지연시키고 살충제 지속 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복합 제제의 방제 효과는 단일 제제보다 훨씬 뛰어나 실제 농업 생산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카보설판의 분해 산물인 카보설퍼는 독성이 매우 강하여 채소 재배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피레트로이드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는 신경막의 나트륨 이온 통로에 영향을 미쳐 신경전달 장애를 유발하고, 이는 해충의 사멸로 이어집니다. 과도한 살포는 해충의 해독 및 대사 능력을 향상시키고, 표적 감수성을 감소시키며, 약제 내성을 쉽게 유발합니다. 표 1은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펜발레레이트의 조합이 감자 진딧물에 대한 방제 효과가 더 우수하며, 2:3 비율의 공독성 계수는 ​​276.8에 달함을 보여줍니다.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에테르트린의 복합 제제는 갈색 멸구 개체군의 범람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에테르트린은 5:1, 티아메톡삼과 에테르트린은 7: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공독성 계수는 ​​174.3~188.7입니다. 13% 티아메톡삼과 9% 베타-시할로트린의 마이크로캡슐 현탁액 화합물은 상당한 상승효과를 가지며, 공독성계수는 232로 123.6-169.5 g/hm²의 범위에 있습니다. 담배 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는 90%에 도달할 수 있으며, 담배 해충 방제를 위한 주요 복합 살충제입니다. 클로티아니딘과 베타-시할로트린을 1:9의 비율로 복합했을 때 벼룩 딱정벌레에 대한 공독성계수가 가장 높았고(210.5), 이는 클로티아니딘 내성 발생을 지연시켰습니다. 아세타미프리드와 비펜트린, 베타-시퍼메트린 및 펜발레레이트의 비율이 1:2, 1:4 및 1:4일 때 공독성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409.0-630.6의 범위에 있었습니다. 티아메톡삼:비펜트린, 니텐피람:베타-시할로트린의 비율이 모두 5:1일 때, 공동독성계수는 각각 414.0과 706.0이었으며, 진딧물에 대한 복합 방제 효과가 가장 유의미했습니다. 멜론 진딧물에 대한 클로티아니딘과 베타-시할로트린 혼합물(LC50 값 1.4-4.1 mg/L)의 방제 효과는 단일 처리(LC50 값 42.7 mg/L)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처리 7일 후 방제 효과는 92% 이상이었습니다.

현재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피레트로이드 살충제의 복합 기술은 비교적 성숙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의 병해충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피레트로이드 살충제의 표적 내성 발현을 지연시키고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높은 잔류 독성 및 비표적 독성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델타메트린, 부톡사이드 등을 병용 처리하면 피레트로이드 살충제에 내성을 가진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와 아노펠레스 감비아에(Anopheles gambiae)를 방제할 수 있으며, 전 세계 위생 해충 방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4 아미드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아미드계 살충제는 주로 곤충의 어류 니틴 수용체를 억제하여 곤충이 근육을 계속 수축시키고 경직시켜 죽게 만듭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그 조합은 해충 저항성을 완화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표적 해충 방제 시, 공동 독성 계수는 ​​121.0~183.0이었습니다(표 2 참조). 티아메톡삼과 클로란트라닐리프롤을 15:11로 혼합하여 B. citricarpa 유충을 방제했을 때, 가장 높은 공동 독성 계수는 ​​157.9였습니다. 티아메톡삼, 클로티아니딘, 니텐피람을 스네일아마이드와 혼합한 경우, 비율이 10:1일 때 공독성 계수는 ​​170.2~194.1에 달하였고, 디노테푸란과 스피룰리나의 비율이 1:1일 때 공독성 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N. lugens에 대한 방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이미다클로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스플루페나미드의 비율이 각각 5:1, 5:1, 1:5, 10:1일 때 방제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공독성 계수도 가장 좋았다. 각각 245.5, 697.8, 198.6, 403.8이었다. 면화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7일)는 92.4%~98.1%에 달할 수 있었고, 배추좀나방에 대한 방제효과(7일)는 91.9%~96.8%에 달할 수 있었으며, 적용 잠재력이 매우 컸습니다.

요약하자면, 네오니코티노이드계와 아미드계 살충제의 배합은 표적 해충의 약제 저항성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약제 사용량을 줄이고 경제적 비용을 절감하며 생태계 환경과의 양립을 촉진합니다. 아미드계 살충제는 내성 표적 해충 방제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독성이 강하고 잔류 기간이 긴 일부 살충제를 대체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시장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 농업 생산에 있어 폭넓은 발전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5 벤조일우레아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벤조일우레아 살충제는 키티나아제 합성 억제제로, 해충의 정상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쳐 해충을 파괴합니다. 다른 종류의 살충제와 교차 저항성을 생성하기 쉽지 않으며, 유기인계 및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가진 표적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제형에 널리 사용됩니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디플루벤주론의 조합은 파 유충 방제에 좋은 상승 효과를 나타내며, 티아메톡삼과 디플루벤주론을 5:1로 배합했을 때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독성 계수는 ​​207.4로 높습니다. 클로티아니딘과 플루페녹수론의 혼합비가 2:1일 때, 파 유충에 대한 공동 독성 계수는 ​​176.5였으며, 포장 방제 효과는 94.4%에 달했습니다. 사이클로페나피르와 폴리플루벤주론, 플루페녹수론 등 다양한 벤조일우레아계 살충제를 병용하면 배추좀나방과 벼잎말이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며, 공독성계수는 100.7~228.9로 살충제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유기인계 살충제와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에 비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벤조일우레아계 살충제를 병용하는 것은 친환경 살충제 개발 개념에 더욱 부합하며, 방제 범위를 효과적으로 확대하고 살충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생태 환경도 더욱 안전합니다.

6 괴사독소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네레톡신 살충제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억제제로, 신경전달물질의 정상적인 전달을 억제하여 곤충 중독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적용 범위와 전신 흡입 및 훈증이 필요 없기 때문에 내성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병용하여 내성이 발생한 벼줄기좀나방과 삼줄기좀나방 개체군을 방제하는 효과는 우수합니다. 표 2는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살충제 단일제를 2:68의 비율로 병용했을 때 디플록신의 해충 방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병독성 계수는 ​​146.7입니다. 티아메톡삼과 살충제 단일제를 1:1로 병용했을 때 옥수수 진딧물에 대한 유의미한 상승 효과가 있으며, 병독성 계수는 ​​214.2입니다. 40% 티아메톡삼·살충제 단일 현탁액의 방제 효과는 15일째에도 93.0%~97.0%로 매우 높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옥수수 생장에 안전합니다. 50% 이미다클로프리드·살충제 링 용해 분말은 사과황금줄무늬나방에 탁월한 방제 효과를 보이며, 해충이 만개한 후 15일째 방제 효과는 79.8%~91.7%에 달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살충제로서, 풀에 민감하여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네크로톡신계 살충제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조합은 실제 생산에서 표적 해충 방제를 위한 더욱 효과적인 방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살충제 배합 개발 과정에서도 좋은 적용 사례입니다.

7 헤테로고리계 살충제와의 복합화 진행

헤테로고리계 살충제는 농업 생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가장 많은 수의 유기 살충제이며, 대부분 환경에서 잔류 기간이 길고 분해가 어렵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혼합하면 헤테로고리계 살충제의 투여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식물 독성을 줄일 수 있으며, 저용량 살충제와 혼합하면 상승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피메트로진의 혼합 비율이 1:3일 때 공동 독성 계수는 ​​가장 높은 616.2에 도달합니다. 벼멸구 방제는 신속하고 지속적입니다. 이미다클로프리드, 디노테푸란 및 티아클로프리드를 각각 메실코나졸과 병용하여 거대검은아가미딱정벌레 유충, 작은거세미나방 유충 및 도랑딱정벌레 유충을 방제했습니다. 티아클로프리드, 니텐피람 및 클로로틸린은 각각 메실코나졸의 조합은 감귤류 프실리드에 대한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갖는다.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및 클로르페나피르와 같은 7가지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조합은 파 파리의 방제에 상승 효과를 가졌다. 티아메톡삼과 피프로닐의 배합비가 2:1-71:1일 때, 공독성 계수는 ​​152.2-519.2이고, 티아메톡삼과 클로르페나피르의 배합비가 217:1일 때, 공독성 계수는 ​​857.4이며, 흰개미에 대한 명확한 방제 효과를 갖는다. 티아메톡삼과 피프로닐을 종자 처리제로 조합하면 밭에서 밀 해충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작물 씨앗과 발아된 묘목을 보호할 수 있다. 아세타미프리드와 피프로닐의 혼합비율이 1:10일 때 약제내성 집파리에 대한 상승효과가 가장 유의미했다.

요약하자면, 헤테로고리계 살충제 화합물 제제는 주로 피리딘, 피롤, 피라졸을 포함한 살균제입니다. 이는 농업 생산에서 종자 처리, 발아율 향상, 해충 및 질병 감소에 자주 사용됩니다. 작물 및 비표적 생물에 비교적 안전합니다. 해충 및 질병 예방 및 방제를 위한 복합 제제인 헤테로고리계 살충제는 시간, 노동력, 경제성 절감 및 생산량 증대라는 이점을 제공하여 녹색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 생물학적 살충제 및 농업용 항생제와의 복합화 진행

생물학적 살충제와 농업용 항생제는 효과가 느리게 나타나고 효과 지속 시간이 짧으며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병용하면 좋은 상승 효과를 발휘하여 방제 범위를 넓히고 효능을 연장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다클로프리드와 보베리아 바시아나 또는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아에를 병용한 경우, 보베리아 바시아나와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아에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96시간 후 살충 활성이 각각 60.0%와 50.6% 증가했습니다. 티아메톡삼과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아에를 병용하면 빈대의 전체 사망률과 곰팡이 감염률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이미다클로프리드와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아에를 병용한 경우, 곰팡이 포자 수는 감소했지만 장수풍뎅이 방제에 상당한 상승 효과가 있었습니다.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선충류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모래파리 감염률을 증가시켜 포장 내 지속성과 생물학적 방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가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옥시마트린을 병용 투여한 결과, 벼멸구에 대한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공독성 계수는 ​​123.2~173.0이었습니다. 또한, 베미시아 타바치(Bemisia tabaci)에 대한 클로티아니딘과 아바멕틴의 4:1 혼합비의 공독성 계수는 ​​171.3으로 유의미한 상승효과를 보였습니다. 니텐피람과 아바멕틴의 혼합비가 1:4일 때, 7일간 N. lugens에 대한 방제 효과는 93.1%에 달했습니다. 클로티아니딘과 스피노사드의 비율이 5:44일 때, B. citricarpa 성충에 대한 방제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공동 독성 계수는 ​​169.8이었고, 스피노사드와 대부분의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이에 교차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저항성이 나타났으며, 방제 효과도 좋았습니다.

생물학적 살충제의 공동 방제는 친환경 농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분야입니다. 일반적인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는 화학 물질과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단일 생물학적 물질은 날씨의 영향을 쉽게 받고 효능이 불안정합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와 혼합하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화학 물질의 사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복합 제제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보장합니다. 방제 및 방제 범위가 확대되었고 환경적 부담도 감소했습니다. 생물학적 살충제와 화학 살충제의 혼합은 친환경 살충제 개발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그 적용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9 다른 살충제와의 혼합 진행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다른 살충제의 조합도 우수한 방제 효과를 보였습니다.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티아메톡삼을 테부코나졸과 종자 처리제로 조합했을 때 밀 진딧물에 대한 방제 효과가 우수했고, 종자 발아율을 개선하면서 비대상 생물안전성을 보였습니다.이미다클로프리드, 트리아졸론, 딘코나졸의 복합 제제는 밀 병해충 방제에 좋은 효과를 보였습니다.%~99.1%.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시린고스트로빈(1:20~20:1)의 조합은 면화 진딧물에 대해 명백한 상승 효과를 보였습니다.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 니텐피람, 펜피라미드의 질량비가 50:1-1:50일 때 공동 독성 계수는 ​​129.0-186.0으로, 흡혈구 해충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방제할 수 있습니다. 에폭시펜과 페녹시카브의 비율이 1:4일 때, 공독성 계수는 ​​250.0으로 벼멸구에 대한 방제 효과가 가장 우수했습니다.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아미티미딘의 조합은 면화진딧물에 대한 명확한 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미다클로프리드의 LC10이 가장 낮았을 때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았습니다. 티아메톡삼과 스피로테트라마트의 질량비가 10:30~30:10일 때, 공독성 계수는 ​​109.8~246.5로 식물독성 효과는 없었습니다. 또한, 미네랄 오일 살충제, 그린그래스, 규조토 및 기타 살충제 또는 보조제를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병용하면 표적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살충제의 복합 사용에는 주로 트리아졸, 메톡시아크릴레이트, 니트로아미노구아니딘, 아미트라즈, 4차 케토산, 미네랄 오일, 규조토 등이 포함됩니다. 살충제를 선별할 때는 식물 독성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고 다양한 유형의 살충제 간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복합 사용 사례는 점점 더 많은 유형의 살충제를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해충 방제에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10 결론 및 전망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광범위한 사용은 표적 해충의 저항성을 크게 증가시켰고, 그들의 생태적 단점과 건강 노출 위험은 현재 연구 핫스팟이자 적용의 어려움이 되었습니다. 다양한 살충제의 합리적인 배합이나 살충 시너지제의 개발은 약제 저항성을 지연시키고, 적용을 줄이며, 효율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조치이며, 실제 농업 생산에서 이러한 살충제를 지속 가능하게 적용하기 위한 주요 전략이기도 합니다. 본 논문은 다른 유형의 살충제와 병용하여 전형적인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적용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살충제 배합의 이점을 명확히 합니다. ① 약제 저항성 지연 ② 방제 효과 향상 ③ 방제 범위 확대 ④ 효과 지속 시간 향상 ⑤ 빠른 효과 향상 ⑥ 작물 생장 조절 ⑦ 살충제 사용 감소 ⑨ 환경 위험 개선 ⑨ 경제적 비용 절감 ⑩ 화학 살충제 개선. 동시에, 제형의 복합적인 환경 노출, 특히 비표적 생물(예: 해충의 천적)과 다양한 생장 단계에 있는 민감 작물의 안전성, 그리고 살충제의 화학적 특성 변화로 인한 방제 효과 차이와 같은 과학적 문제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기존 살충제 개발은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며, 비용이 많이 들고 연구 개발 주기도 깁니다.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이며 표준화된 살충제 배합은 살충제 사용 주기를 연장할 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의 선순환을 촉진합니다. 생태 환경의 지속가능한 발전은 강력한 뒷받침이 됩니다.


게시 시간: 2022년 5월 23일